본문으로 바로가기

구글 지메일 백업해서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

category IT│컴퓨터│게임 2018. 6. 16. 12:09


최고의 이메일 플랫폼인 구글 지메일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이메일 플랫폼입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아직 네이버 이메일을 사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지만 국내 전용이 아닌 외국계 회사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외국의 직장 동료들과 연락을 주고 받을 때는 지메일이 없으면 안될 정도입니다.


구글에서는 지메일과 구글 드라이브 등 한 계정에서 사용하는 용량을 전부 묶어 계산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지메일만 쓰시는 분들은 넉넉하게 느껴지실 수 있고 여러 서비스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용량에서 한계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지메일로 받은 메일을 그대로 두면 용량이 계속 차게 된다는 것입니다.




지메일은 업무상의 메일이나 광고 메일이 자주 오기에 메일의 용량이 전체적으로 큰 편입니다. 또한 몇년전에 받은 메일도 그대로 남아있어 주기적으로 정리를 해주지 않으면 용량의 한계에 도달하고 말 것입니다. 그런데 지메일로 받은 중요한 메일들은 지우기에 망설여지시는 경우가 있을실텐데 다행히도 구글에서는 지메일 백업 서비스를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지메일 백업 서비스는 횟수의 제한도 없고 돈이 드는 것도 아닙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지메일을 백업하고 메일을 삭제해 용량을 관리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지메일 백업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에서 지원하는 가장 쉽고 간편한 지메일 백업 방법인 Zip 파일 형태로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메일 백업 - 지메일을 백업해서 ZIP 파일로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


지메일을 백업하려면 메뉴는 우측 상단의 구글 계정 아이콘을 클릭하고 나의 계정 메뉴로 넘어가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보호 메뉴에서 콘텐츠 설정 메뉴를 찾아 클릭하셔야 합니다. 


그러나 이 포스팅을 읽으시는 분들은 그러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바로 여기"콘텐츠 설정" 을 클릭하시면 지메일 백업 화면인 콘텐츠 설정 화면으로 넘어갑니다.


1. 콘텐츠 설정화면을 보시면 콘텐츠 다운로드 또는 전송이라는 항목이 있고 아래에는 보관 파일 만들기 라는 버튼이 있습니다. 이를 클릭해줍니다.




2. 보관 파일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내 데이터 다운로드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바로 아래에는 포함할 데이터 선택 항목이 있는데 처음 접속하면 모든 옵션이 선택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오른쪽에 있는 선택 안함 버튼을 클릭해주시고 메일 항목을 찾아서 메일 항목만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메일 항목을 선택하셨으면 화면을 아래로 쭉 내려 다음 버튼을 클릭해줍니다.




3. 다음 버튼을 누르면 지메일을 ZIP 파일로 압축한다고 나오며 전송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메일을 통해 다운로드 링크 전송이 기본 옵션인데 이는 그대로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보관 파일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지메일 보관 파일을 생성하게 됩니다.





4. 지메일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데 어느정도 시간이 걸립니다. 지메일 백업 파일 생성이 완료되면 지메일로 해당 작업 완료 안내문과 다운로드 링크가 전달됩니다. 지메일로 받은 지메일 백업 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5. 보관 파일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서 자동으로 지메일 백업 파일을 다운로드 시작합니다. 혹시라도 자동 다운로드가 되지 않는다면 파일 옆의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지메일 백업 보관 기간은 생성일로부터 일주일입니다. 그러니 이 기간안에 다운로드를 하셔야만 백업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 과정을 잘 따라오셨으면 지메일 백업을 완료하신 것입니다. 생성된 ZIP 형식의 지메일 백업 파일은 MBOX 형태로 아웃룩, 맥 메일과 같은 프로그램에서 임포트(import)하시면 기존의 메일 형식 그대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메일 백업은 전혀 어렵지 않고 오래 걸리지도 않습니다. 그러니 주기적으로 백업을 하시고 지메일을 정리하시는 습관을 가지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구글 지메일 백업해서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 이었습니다.



이 포스트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네이버
밴드
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