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MI 설명 및 BMI 측정하는 방법

category 생활│건강 2018. 2. 4. 15:18


BMI는 'Body Mass Index'의 약자로 키와 몸무게로 계산한 대략적인 체질량 지수입니다. BMI 지수는 키와 몸무게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간단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계를 이용하여 체지방을 직접 측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과의 정확성에 대해서 말이 많은 편입니다.


BMI는 의사가 만든것도 아니고, 과학자가 만든것도 아닙니다. 놀랍게도 BMI는 1895년 미국 메트로폴리탄(현 메트라이프)이 보험에 가입한 고객의 건강 상태 및 수명을 예상하기 위해 고객의 나이, 키, 체중 등을 기록하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BMI의 공식은 (몸무게(kg)/키^2(m)) 입니다. 예를 들어 몸무게가 55kg, 키가 1.68m인 사람의 BMI를 계산하면 55kg/(1.68m)^2=19.4입니다.


BMI로 비만 유무를 판단할 때 서양 국가의 경우는 거의 동일하지만 동아시아 국가의 경우는 국가별로 조금씩 다르다고 합니다. 


대한비만학회는 BMI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3은 정상, 23~25이면 과체중, 25∼30은 경도비만, 30∼35는 중등도비만 , 35 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서양의 기준으로는 저체중은 BMI가 18.5 이하의 경우, 정상은 18.5~25의 경우, 과체중은 25~30의 경우, 1단계 비만은 30~35의 경우, 2단계 비만은 35~40의 경우, 3단계 비만은 40이상의 경우입니다. 일본의 경우 남성 27.7 여성 26.1 이상일 때 비만, 중국의 경우 28이상을 비만으로 봅니다.


BMI를 측정하는 방법은 몸무게와 키만 알면 가능하기 때문에 간단합니다. 체중계를 이용하여 몸무게를 측정합니다. 막대자나 줄자를 이용해 키를 측정합니다. 제대로 된 기계가 없는 경우 벽에 기댄 상태에서 연필 등으로 표시를 해주시면 됩니다. 측정한 키를 제곱을 해줍니다. 이후 측정한 몸무게를 측정한 키의 제곱으로 나눠주시면 됩니다. 이때 주의하실점은 단위입니다. 몸무게는 kg 키는 m이기 때문에 본인의 키가 175이시면 1.75x1.75로 해주셔야합니다.


BMI는 빠르게 체질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병역판정검사에서 BMI를 통해서 등급을 나누기도 합니다. 키가 161cm 이상~ 204cm 미만일 때 BMI 20~24.9 사이는 1급, 18.5~19.9사이, 25~29.9 사이는 2급, 17~18.4사이, 30~32.9 사이는 3급, 14~16.9사이, 33~49.9사이는 4급, 14미만, 50이상은 5급입니다. 





기존의 경우는 5급이 없었기 때문에 BMI 검사 결과로 13을 받거나 16.9를 받으면 똑같이 4급이었습니다. 또한 BMI 검사 결과로 33을 받거나 52를 받아도 4급이었습니다. 그러나 BMI 14미만, BMI 50이상은 공익업무를 보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의해서 BMI를 통한 신체 검사 5급(전시근로역)을 받을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으며 2018년 2월 1일부터 적용되어 시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BMI 재검을 통한 공익, 면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BMI검사는 재검이 불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이 포스트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네이버
밴드
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