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꾹질은 횡격막이 자극을 받아 급격한 수축을 일으키며 성대에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것을 말합니다. 딸꾹질의 원인은 명확히 규명되지는 않았습니다. 어떠한 종류의 자극이 횡격막이 경련/수축하도록 만드는지도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딸꾹질은 공기를 과도하게 들이마셨거나 갑자기 긴장했을 때, 밥을 급하게 먹을 때, 갑자기 차갑거나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등의 상황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일부 사람들의 경우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딸꾹질을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딸꾹질을 잠깐 하는 것이 아니라 수시간 씩 쉬지 않고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자신이 어떠한 성분에 알레르기 반응을 보이는지를 제대로 조사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딸꾹질이 비정상적으로 오래 지속되면서 배나 머리 등 신체의 특정 부위에 통증이 동반될 때는 몸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니 병원에 바로 가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인터넷 상에는 정말 많은 종류의 딸꾹질을 멈추는 방법이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무수한 방법 가운데 대부분의 방법들은 실제로는 아무 효과가 없는 민간 요법입니다. 지금부터 실제로 효과가 있는, 과학적으로 입증된 방법들을 포스팅 해드릴테니 평소에 단순 민간 요법으로 생각해 믿지 않았던 것들이 있는지 한번 확인해 보시고, 딸꾹질을 멈추고 싶을 때 아래의 방법들 중 본인의 상황에 알맞은 방법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 물 마시기
딸꾹질을 멈추려면 물을 마셔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물을 공기와 함께 마시듯 먹으면 됩니다. 또는 코를 막거나 귀를 막은 채로 물을 마시는 방법도 좋습니다.
이러한 행동을 하는 이유는 트림을 하기 위해서입니다. 트림을 하게 되면 미주 신경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역할을 합니다. 미주 신경이란 부교감 신경 가운데 연수에서 나와 폐, 심장 등에 분포한 신경을 말합니다. 미주 신경이 원래대로 돌아와 정상적인 움직임을 갖게 되면 딸꾹질이 멈추게 될 것입니다.
물이 없을 경우 트림이 나올 때까지 공기를 삼켜도 됩니다. 공기를 계속 삼키다보면 자연스럽게 트림이 나올 것입니다. 그러나 공기를 삼키는 것보다는 물을 공기와 함께 마시듯 먹는 것이 더 좋습니다. 그러니 공기를 삼켜서 트림을 유발하는 행위는 물을 마실 수 없는 상황에서만 시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 숨 참기
숨을 컨트롤 하여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늘리면 뇌의 호흡 중추가 자극을 받아 딸국질이 멈추게 됩니다. 심호흡을 하고 숨을 최대한 들어마셔 내부 압력을 빵빵하게 해줍니다. 숨을 10초 정도 참고 천천히 내쉬면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비닐 봉지 또는 종이 봉투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비닐 봉지나 종이 봉투를 입에 대고 호흡을 하면 앞과 같은 원리로 혈액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집니다. 숨이 차오를 정도로 운동을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달리기, 제자리 점프 등으로 숨을 차게 만들면 딸국질이 멈출 것입니다.
3. 단 음식 먹기
단 음식을 입안에 넣게 되면 딸꾹질이 멈추게 됩니다. 설탕을 작은 숟가락으로 떠서 입안에 넣고 녹인 후 물을 한 모금 마셔 입 안을 청소해주면 됩니다. 설탕이 아니라 초콜릿, 꿀 등도 가능합니다. 땅콩 버터를 입 안에 넣은 후 5~10초간 침으로 녹여서 먹이는 것도 가능합니다.
단 음식을 작은 숟가락으로 떠서 입에 넣기만 해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로 딸꾹질이 멈추게 될 것입니다. 다만 가끔 이 방법이 안통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한번 시도했을 때 딸꾹질이 멈추지 않으면 자신과는 맞지 않는 방법이니 다른 방법을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신 음식 먹기
신 맛을 느끼게 되면 몸이 깜짝 놀라게 됩니다. 몸이 깜짝 놀라게 되면 신체의 여러 기능들이 원래대로 돌아오게 되면서 딸꾹질이 멈추게 됩니다. 레몬으로 신 맛을 느끼려면 레몬 조각을 입에 물어 즙을 빨아먹는것이 간편합니다. 생 레몬이 먹기 불편하다면 설탕을 뿌리거나 칵테일에 넣는 등의 방법을 사용해도 됩니다. 레몬이 없을 때는 피클 주스, 식초 등의 다른 신 음식들을 먹어도 됩니다.
5. 동맥 누르기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목동맥중 한 쪽을 골라서 수 초간 살짝 눌러주시면 딸꾹질이 멈추게 됩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세게 누르시면 안되고 맥박이 뛰는게 느껴질 정도로만 누르시면 됩니다. 손가락 끝으로 목동맥을 수초 누르고 땐 후에도 딸꾹질이 멈추지 않게 되었다면 방법이 잘못된 것이니 다시 한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생활│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와 의사소통 하는 방법 (0) | 2018.01.28 |
---|---|
스마트폰의 수명을 갉아먹는 나쁜 습관 7가지 (0) | 2018.01.27 |
피부 좋아지는 방법 (0) | 2018.01.20 |
경청하는 방법 (0) | 2018.01.20 |
화이트헤드 제거하는 방법 (0) | 2018.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