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번아웃 증후군. 한번쯤은 들어보셨텐데요. 번아웃 증후군은 현대사회 가장 문제가 되는 증후군 중 하나입니다.

 

번아웃 증후군 설명

 

 

번아웃 증후군이란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극도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감을 호소하며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번아웃은 영어 Burn + Out이 합쳐진 단어로서 말그대로 모든 것이 다 불타 없어진다는 뜻입니다. 

 

번아웃 증후군은 뉴욕의 정신분석과 허버트 프로이덴버거(Herbert Freudenberger)가 명명하였습니다. 프로이덴버거는 '약물 중독자들을 상담하는 전문가들이 무기력함을 느끼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번아웃'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 이것이 번아웃 증후군의 유래라고 합니다.

 

번아웃 증후군이 나타나는 이유는 해당 직무가 개인과 사회의 기대 수준을 충족하지 못할 때 일어난다고 합니다. 자신이 원하고 하고자하는 직무를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 성취감을 얻지 못하고, 이상을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이 반복되면 부정적인 실패의 경험이 얻을 수 있는 성취감보다 커지게 됩니다. 이렇게 되면 해당 직무를 수행할 때마다 뇌는 실패의 경험을 회피하려 하기 때문에 육체적, 정신적 데미지가 생기는 것이죠. 

 

번아웃 증후군 증상 및 자가진단

 

번아웃 증후군은 주로 목표의 수준이 지나치게 높고 일을 할 때 전력을 쏟아붙는 성격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데요. 현대 사회에 직장생활을 한다면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증후군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현대 사회에서는 긴 노동 시간과 강도높은 육체적,정신적 노동(둘 중 하나만 해당되어도)을 요구하는데 휴식 시간은 짧고 휴식의 질도 좋다고 볼 수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스스로가 번아웃 증후군이 의심된다면 아래의 번아웃 증후군 경고 증상들을 읽어보시고 해당하는 개수를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1. 만성적으로 기력이 없고 쇠약해진 느낌이 든다.

 

2. 같은 업무에도 무기력감을 느끼다가 갑자기 열정이 끓어오르는 상태가 반복된다.

 

3. 타인에게 화를 자주내고 이를 스스로 조절할 수 없다.

 

4. 직장이나 업무와 관련한 거부감, 부정적인 생각이 계속 든다.

 

5. 요통, 두통 등의 질환에 자주 시달린다.

 

번아웃 증후군 해결 방법

 

1. 본인의 삶을 직무와 구분하기

 - 회사의 일과 나의 일을 구분하라는 말입니다. 일과 여가의 균형을 잘 맞추는것이 중요하며 회사에서 업적을 남기는 것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남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 정도의 직무수행을 목표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스트레스 원인으로부터 회피하기

 - 만약 특정 직무나 상사로부터 스트레스를 너무 심하게 받는 경우에는 그 문제 자체를 회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당 경우는 부서 이동, 이직, 업종 변경등 스트레스 원인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방법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임금이 낮아지더라도 업무만족도가 높은 직장으로 취업, 이직을 하게 되면 번아웃 증후군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갖기

 -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실제로 회사 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더라도 스트레스를 잘 해소할 수 있다면 번아웃 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지인, 배우자 등 고민을 상담할 사람이 있다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은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으며 게임, 낚시, 등산, 수집 등 취미 생활에 몰두하게 되면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번아웃 증후군을 해결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목표를 낮추고, 의욕을 줄이는 것입니다. 요즘은 회사에서도 면접시 스트레스를 어떻게 해소하는가를 필수적으로 물어본다고 합니다. 그만큼 번아웃 증후군은 현대 사회에서 가장 흔한 증후군 가운데 하나이고 회사 입장에서도, 직원 입장에서도 신경을 써야하는 일이라는 것입니다. 

이 포스트 공유하기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
네이버
밴드
카스